1.5 Linear Dependence & Linear Independence 일차종속과 일차독립
Definition
Linearly dependent Linearly independent
벡터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을 만족하는 유한개의 서로 다른 벡터 와, 적어도 하나는 0이 아닌 스칼라 이 존재하면 집합 는 일차 종속 (linearly dependent)이라고 한다. 이때 의 벡터 또한 일차종속이다.
1)
a set is called linearly dependent
existence of non-trivial way to represent zero vector
또한, 벡터의 집합이 선형 종속이 아니면 선형 독립이다.
2)
a set is called linearly independent
there’s only trivial way to represent zero vector
영벡터의 자명한 표현 (trivial representation of )
⇒ 집합이 일차종속이면, 적절한 벡터를 택하여 영벡터를 자명하지 않은 방식으로 표현 가능하다.
또한, 영벡터 을 포함하는 모든 부분집합은 일차종속이다. 은 영벡터의 자명하지 않은 표현이기 때문이다.
* 인 경우에 대해서, 약간의 곤란함이 있다. 2)의 서술이 좀더 범용성있고 세련된 서술이다.
일차독립인 집합에 대한 다음 명제는 모든 벡터공간에서 참이다.
명제 1 공집합은 일차독립이다.
명제 2 영이 아닌 벡터 하나로 이루어진 집합은 일차독립이다.
명제 3 어떤 집합이 일차독립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을 주어진 집합에 대한 일차결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자명한 표현 뿐인 것이다.
[observe]
is linearly independent, then
⇒ ⇒
⇒
Theorem
정리 1.6
는 벡터공간이고 이다. 이 일차종속이면 도 일차종속이다.
Corollary 정리 1.6의 따름정리
는 벡터공간이고, 이다. 가 일차독립이면 도 일차독립이다.
proof
정리 1.6 [는 벡터공간이고 이다. 이 일차종속이면 도 일차종속이다.]
이라고 하자, 이다.
이 일차 종속이면, 를 만족하는 자명(trivial, )하지 않은 해가 존재한다는 명제와 필요충분조건이다.
즉, 이다.
한편 의 원소들의 일차 결합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.
그러면, 와 같은
스칼라 n-tuple 를 얻을 수 있고, 이는 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영벡터의 자명하지 않은 표현이 되므로 는 일차 종속이다.
따름정리 [는 벡터공간이고, 이다. 가 일차독립이면 도 일차독립이다.]
⇒ [간접증명법] 가 일차 독립일 때, 가 일차 종속이라고 하면, 정리 1.6에 의해 는 일차 종속이어야 한다. 이는 가정과 모순이다.
(벡터의 유한집합은 반드시 일차 종속이거나, 일차 독립이므로)
따라서, 가 일차독립이면 또한 일차독립이다.
정리 1.7
벡터공간 그리고 일차독립인 부분집합 를 생각하자.
에 포함되지 않는 벡터 에 대하여, 가
일차종속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.
proof
는 일차 종속
가 일차종속이면 다음 식을 만족하는 벡터 와 스칼라 이 존재한다. (단, )
위 벡터들 중, 어떤 에 대해 라고 할 수 있다.
그런데 만약 이면, 이 되고, 는 일차독립이므로, 를 제외한 나머지 벡터들로는 인 자명한 표현 밖에 얻을 수 없다.
따라서 이다. 그러면 위 식을 적절히 변형하여 임을 알 수 있다.
는 일차 종속
라고 하면
을 만족하는 로의 표현이 가능한데, 즉시
이고, 이므로 는 일차 종속이 된다.
[(O,X) Quiz]
(1) 집합 S가 일차종속이면 S의 모든 벡터는 (S의) 다른 벡터의 일차결합이다.
(2) 영벡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집합은 일차종속이다.
(3) 공집합은 일차종속이다.
[Quiz]
벡터공간 의 일차독립이고 서로소인 두 부분집합 가 있다. 가 일차종속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
임을 증명하라.
1.6 Basis and Dimension 기저와 차원
Definition
‘Linearly Independent(=minimal) generating subset of ’ is called ’a’ basis for
’일차 독립인 의 생성집합’을 ‘의 기저’ 라고 한다.
기저로 생성되는 벡터공간의 모든 벡터에 대해, 기저로 표현하는 방법은 유일하다.
Theorem
정리 1.8
벡터공간 와 이 공간에 속한 서로 다른 개의 벡터 을 생각하자. ‘집합 가 의 기저’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
’임의의 벡터 를 에 속한 벡터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, 그 표현은 유일하다'는 것이다. 즉, 유일한 스칼라 에 대하여 벡터 는 다음과 같다.
⇒ 사실 바로 위의 [Quiz 2]와 같은 이야기이다.
proof
임의의 벡터 에 대해 기저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나는 두 가지 방식의 서로 다른 표현이 있다고 하자.
일 때 양변을 적절히 소거하면
의 형태가 되고, 는 기저이므로 선형 독립이다.
따라서 이고, 이러한 표현은 유일하다.
정리 1.9
유한집합 가 벡터공간 를 생성하면, 의 부분집합 중 의 기저 가 존재한다.
즉, 는 유한집합인 기저를 포함한다.
proof
[전제]
또는 인 경우, 이다.
는 의 부분집합이면서 의 기저이다.
가 이 아닌 벡터 을 가진다고 하자.
일차독립인 집합에 대한 다음 명제는 모든 벡터공간에서 참이다.
명제 1 공집합은 일차독립이다.
명제 2 영이 아닌 벡터 하나로 이루어진 집합은 일차독립이다.
명제 3 어떤 집합이 일차독립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을 주어진 집합에 대한 일차결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자명한 표현 뿐인 것이다.
이고, 명제2에 따르면 은 일차독립인, 의 부분집합이다. 요는, 어떤 유한집합 든지 영이 아닌 벡터를 가지고 있기만 하면, 그 집합에서 원소들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독립인 집합 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. 물론, 그렇게 줄이다가 가 되지는 않을까 걱정(?)해봐야한다.
우선, 집합 가 일차독립이 되도록 에서 순차적으로 를 꺼낸다고 하자.
(‘잘’ 꺼내야 한다, 다른 벡터들로 represent 불가능한 원소를 제거해 버리면 여전히 일차종속이며, 생성공간도 축소되니까!)
그러면 는 다음 두가지 경우로 나뉜다.
일 때 (에서 어떤 원소도 제거하지 않았고, 가 이미 독립인 경우)
⇒ 는 일차독립이면서 의 생성집합이므로 의 기저이다.
일 때 ( 에서 하나 이상의 벡터를 선택하여 제거 해서 일차독립인 를 만들었을 때)
⇒ 다른 벡터를 선택하여 에 추가하는 순간 일차 종속이 되면 가 의 기저임을 보이면 된다.
[정리 1.5]
벡터공간 의 임의의 부분집합 의 생성공간은 를 포함하는 (의) 부분공간이다.
또한 를 포함하는 의 부분공간은 반드시 의 생성공간을 포함한다.
이때,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.
왜? 은 의 부분공간이고, 어떤 부분공간 가 집합 를 포함하면, 까지 성립함을 우리는 알고 있다!
라면, 당연히 이니까! 자 그럼, 임을 보이자! 어떻게?
이므로, 후자가 성립함을 보일것이다.
즉, 임을 보인다는 뜻이다.
인 는 두 경우로 분류된다.
1. 인 경우 ⇒ 당연히 이다.
2. 인 경우 ⇒ 는 일차종속이다. (종속인 벡터들만 제거해서 만들었으니까!)
[정리 1.7]
벡터공간 그리고 일차독립인 부분집합 를 생각하자.
에 포함되지 않는 벡터 에 대하여, 가
일차종속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.
[정리 1.7]로부터, 가 일차종속이면, 이다.
따라서 이다.
간단히 정리하면, 여기서 신경써야 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.
1.
생성공간의 크기
2.
독립성 ( 혹은 는 반드시 독립이다.)
즉, 생성공간의 크기를 축소시키지 않으면서, 독립성을 얻을 수 있는가? 하는 점이다.
다시 말해, ‘독립인 집합 의 생성집합’ 임을 보이는 것이다.
Q. 종속인 유한 생성집합 내에서, 원소 하나를 제거하면 집합이 독립이 되면서 동시에 생성공간도 축소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지 않나?
⇒ 사실, 상호 종속인 벡터 묶음에서 한 벡터를 소거하는것은 생성공간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. 다만, 소거해도 종속인 경우에는 상호 종속인 벡터 묶음 내의 벡터가 a. 더 남아있거나, b. 벡터 묶음에 속하지 않는, 위에서 언급한 ‘대체 불가능한 원소’를 소거해 버린 경우가 생긴다. b.의 경우에는 생성공간이 축소되고 독립성도 얻을 수 없다. a.의 경우 독립이 되려면 소거를 유한번 더 해야한다.
여기서부터 나오는 정리들은 진.짜.중.요.합.니.다.
정리 1.10 (Replacement Theorem 대체정리)
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집합 가 벡터공간 를 생성한다고 하자.
이 개의 일차독립인 벡터로 이루어진 의 부분집합이라면
이며,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 가 존재한다.
는 개의 벡터로 이루어졌으며, 는 를 생성한다.
간단히 말해서
이고, 인 이 일차독립이면
1) 이다.
2)
1)에 대한 증명
이고, 이 일차독립이다.
이므로 에 대해서 의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.
은 일차독립인 집합이므로 영벡터를 포함하지 않는다. 따라서 이다.
그러면 0이 아닌 스칼라 계수를 갖는 의 를 로 두면, 라고 표현할 수 있다.
이는 임을 의미한다. 즉, 벡터 가 로 대체되었음에도 여전히 집합이 같은 벡터공간 를 생성함을 알 수 있다.
그러면 여전히 로 표현 가능한데, 인 경우 가 되어 이 일차독립이라는 사실에 모순이 되므로 앞에 붙은 스칼라 계수 중 반드시 하나 이상은 0이 아니다. 그것을 로 두면, 이전과 같이 로 표현할 수 있고, 이는 를 의미한다. 이와 같이 의 벡터들을 일차독립인 의 원소들로 대체해도 의 생성집합이 되는사실에는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다.
그렇다면 만약 라고 할 경우 기존의 생성집합 가 부터 까지의 벡터로 대체되었다고 하면, 이고 남은 독립인 벡터들에 대해서도 여전히 라고 할 수 있다. 그러면 로 표현할 수 있는데, 이는 기존의 이 독립이었다는 사실에 모순이다. 따라서 이다.
2)에 대한 증명 : [m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]
m = 0 (즉, ) 일 때는 로 잡으면 된다.
⇒ 공집합은 일차독립이고, 이며, 이므로 성립한다.
이제 임의의 정수 에 대하여 위 정리가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일 때도 성립함을 보이자.
이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일차독립인 의 부분집합이라고 하자.
[정리 1.6의 따름정리]
는 벡터공간이고, 이다. 가 일차독립이면 도 일차독립이다.
위 따름정리에 의해 도 일차독립이다. 가정에 의해 집합 가 를 생성하도록 하는 의 부분집합 이 존재한다.
이고 이므로 는 의 원소로 표현 가능하다. 즉,
를 만족하는
스칼라 과 이 존재한다.
(단, 여기서 이다. 만약 이라면, 은 의 일차결합이 되고, 이 일차독립이라는 사실에 모순이 된다.)
인 정수 이므로 이다.
또한, 중 0이 아닌 스칼라가 반드시 존재한다. () 이 스칼라를 이라고 하자.
(만약 이면, 직전과 똑같은 모순이 발생한다.)
위에서, 였으므로, 이를 변형하면
이고
이라 하면, 임을 알 수 있다. 나머지 원소들에 대해서도 또한
자명하게 이므로 (우리는 임을 이미 잘 알고있어요!)
는 전제에 따라 를 생성하며 이므로
(벡터공간에 대한 부분공간 가 내의 집합 에 대해
이면 곧 임도 잘 알고 있지요!)
[기억 안나실까봐 가져왔어요.. 정리 1.5]
벡터공간 의 임의의 부분집합 의 생성공간은 를 포함하는 (의) 부분공간이다.
또한 를 포함하는 의 부분공간은 반드시 의 생성공간을 포함한다.
가정에 따라 인데 정리 1.5에 의해
이면 즉, 임을 알 수 있다.
다시, 는 인 일차독립인 집합이고,
는 인 의 부분집합 이므로
이 정리는 일 때도 성립한다.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.
요컨대, 이 정리의 의의는 생성집합의 원소들을 전혀 다른 (일차독립인) 벡터들로 교체해도 여전히 같은 공간을 생성하는 생성집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.
따름정리 1 [역시 넘모 중요합니다]
벡터공간 가 유한집합인 기저를 포함한다고 하자. 의 모든 기저는 유한집합이며, 같은 개수의 벡터로 이루어져 있다.
Proof
기저의 성질을 활용하면 쉽게 증명 가능합니다. 벡터공간 의 기저는 ‘일차독립인 생성집합’ 이므로 기저 와 에 대해서는
벡터공간 에 대해 인, 선형독립인 와 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.
바로 위의 대체정리에서 인 와 을 만족하는 일차독립인 에 대해 임이 항상 성립함을 보였다.
그러면 1) 를 로, 를 로 생각하면 임을 알 수 있고, 2) 를 로, 를 로 생각하면 임을 알 수 있으므로
벡터공간 의 기저 에 대해서 항상 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.
즉, 하나의 유한 벡터공간 내에서 를 생성하는 서로 다른 수많은 기저를 얻을 수 있지만, 모든 기저들은 같은 수의 벡터들을 원소로 갖는다.
그리고 그 원소의 개수가 바로 벡터공간의 차원 (dimension of Vector space) 이 된다.
Definition
기저가 유한집합인 벡터공간을 유한차원(finite dimension)이라 한다.
의 기저가 개의 벡터로 이루어질 때, 유일한 자연수 은, 주어진 벡터공간의 차원(dimension)이고 라 표기한다.
유한차원이 아닌 벡터공간은 무한차원(infinite dimension)이다.
따름정리 2
를 차원이 인 벡터공간이라 하자.
(1) 의 유한 생성집합에는 반드시 개 이상의 벡터가 있다. 또한,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(의) 생성집합은 (의) 기저이다.
(2) 일차독립이고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(의) 부분집합은 의 기저이다.
(3) 일차독립인 (의) 부분집합을 확장시켜 기저를 만들 수 있다. 다시 말해 이 일차독립이면 인 의 기저 가 존재한다.
Proof
의 기저를 라고 하자.
(1) [의 유한 생성집합에는 반드시 개 이상의 벡터가 있다. 또한,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(의) 생성집합은 (의) 기저이다.]
⇒ 의 유한 생성집합을 라고 하자.
[정리 1.9]
유한집합 가 벡터공간 를 생성하면, 의 부분집합 중 의 기저 가 존재한다.
즉, 는 유한집합인 기저를 포함한다.
위에 따르면, 의 부분집합이자 의 기저인 집합 가 존재한다.
[대체정리의 따름정리 1]
벡터공간 가 유한집합인 기저를 포함한다고 하자. 의 모든 기저는 유한집합이며, 같은 개수의 벡터로 이루어져 있다.
에 의하여, 는 정확히 개의 벡터로 이루어져 있다. 의 부분집합이 개의 원소를 가지므로 에는 개 이상의 벡터가 있고,
가 정확히 개의 벡터를 가지면 이다. 즉, 는 의 기저이다.
(2) [일차독립이고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(의) 부분집합은 의 기저이다.]
⇒ 정확히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일차독립인 의 부분집합을 이라 하자. [대체정리]의 과정을 통해 의 원소들로 (의 생성집합)의 모든 원소를 대체해도 생성공간에는 변화가 없음을 안다. 즉, 이며, 이므로 은 의 기저가 된다.
좀더 형식을 살려 서술하자면, [대체정리] 에 의하여 개의 벡터로 이루어졌으며, 인 인 집합 가 존재한다.
여기서 이므로 이고 은 를 생성한다. 조건에서 은 일차독립이었으므로 은 의 기저이다.
(3) [일차독립인 (의) 부분집합을 확장시켜 기저를 만들 수 있다. 다시 말해 이 일차독립이면 인 의 기저 가 존재한다.]
⇒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의 일차독립인 부분집합을 이라 하자.
[대체정리]에 의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의 부분집합 가 존재한다.
’는 개의 벡터로 이루어졌으며, 가 를 생성한다.’
에는 기껏해야 개의 벡터가 있다.
(1)에 의해 는 개의 벡터로 이루어져 있고, 는 의 기저이다.
정리 1.11
[부분공간의 차원]
유한차원 벡터공간 에 대하여 부분공간 는 유한차원이고,
이다. 특히 이면 이다.
Proof
이라 하자.
1) 이면, 는 유한차원이고 이다.
2) 인 경우, 내에서 일차독립인 집합 를 만들어 보자.
는 영이 아닌 벡터 을 가지고, 은 일차 독립이다.
이제 가 일차독립이 되도록 에서 적절한 벡터 를 순차적으로 꺼낸다.
자연수 에 대해 에서 내의 어떠한 라도 추가하는 즉시 일차 종속이 된다면 가 일차종속이라고 할 수 있고,
[정리 1.7]에 의해 이며, 곧 가 된다. 이 경우 는 일차독립이면서 를 생성하므로 의 기저가 된다.
여기서 가 된다. 그런데 [대체정리]의 첫번째 결론에 따라서, 인
벡터공간 의 일차독립인 부분집합은 개를 초과하는 벡터를 가질 수 없다.
즉, 이다.
만약 라면, 바로 위의 [대체정리의 따름정리 2-(2)]
⇒ ‘일차독립이고 개의 벡터로 이루어진 (의) 부분집합은 의 기저이다.’ 에 의하여
인 경우 가 되어 임을 알 수 있다.
따름정리
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부분공간 를 생각하자.
의 임의의 기저를 가져오면, 이 기저를 확장하여 의 기저를 얻을 수 있다.
의 기저를 라 하자. 는 의 일차독립인 부분집합이므로
[대체정리의 따름정리 2] 에 의해 의 기저로 확장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