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ector Space 벡터공간
Definition
Vector Space about Field 체 에서의 벡터공간
vector ‘벡터’들로 이루어진 공집합이 아닌 집합. 집합에 속한 원소들에 대해 다음의 두 연산이 정의되어 있다.
1. Vector Addition
⇒ 의 두 원소 에 대해 유일한 원소 를 대응하는 연산
2. Scalar Multiplication
⇒ 체 의 원소 와 벡터공간 의 원소 마다 유일한 원소 를 대응 하는 연산
또한, 다음 8가지 성질을 만족한다.
[ : 모든 에 대하여, : 가 존재한다, : such that,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]
(덧셈의 교환법칙)
(덧셈의 결합법칙 성립)
(덧셈에 대한 항등원 존재)
(덧셈에 대한 역원 존재)
(스칼라 곱에 대한 항등원 존재)
((스칼라의) 분배법칙 성립)
((벡터의) 분배법칙 성립)
[주의할 점]
VS3의 항등원은 모든 벡터 x 에 대해 항등원이 되는 0 벡터가 하나의 원소로서 벡터공간 내에 존재한다는 것이고
VS4의 역원은 각각의 벡터 x 마다 합하면 결과가 항등원 0벡터가 되는, 각각의 x에 대한 역원 y가 벡터공간 내에 존재한다는 뜻입니다.
이러한 벡터공간을 ‘-벡터공간 ’이라 표기한다.
여기서 소개된 체 의 원소를 스칼라 scalar 라고 하며, 벡터공간 자체는 벡터만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
2. Scalar Multiplication의 피연산자를 가져오기 위해, 벡터공간을 정의할 때 함께 정의해야 하는 집합이다.
체 (Field)란? : 집합, 벡터공간과 같은 대수구조, 덧셈과 곱셈이 잘 정의되어 있는 집합.
예시로는 실수 집합 , 유리수 집합 등이 있음
Theorem 정리 1.1 Cancellation law 벡터 합의 소거법칙
이고 일때, 이다.
proof
VS4 : [각 마다 인 가 존재한다.] 에 의해
을 만족하는 가 존재하고 이다.
양변에 를 더하면,
벡터 합의 결합법칙 (associativity of vector addition)
⇒
는 덧셈에 대한 의 역벡터 (additive inverse)
⇒
은 덧셈에 대한 항등원 (additive identity)이며, 영벡터 (zero vector) 라고 함
Corollary
1.1 의 따름정리 1
VS3 : [모든 에 대하여 인 이 존재한다.] 를 만족하는
벡터 는 유일하다.
proof
인 벡터 를 생각하자.
바로 위의 Thm 1.1 (소거 법칙)에 의해
이면 이다.
따라서 zero vector 은 유일하다.
1.1 의 따름정리 2
VS4 : [각 마다 인 가 존재한다.] 를 만족하는
벡터 는 유일하다.
proof
인 벡터 를 생각하자.
역시 Thm 1.1 에 의해
이면 이다.
따라서 임의의 에 대한 additive inverse 은 유일하다.
Theorem
정리 1.2 스칼라 곱의 기본 성질
1. 모든 벡터 에 대하여 이다. (주의 : 좌변의 은 의 원소이고, 우변의 은 의 원소이다.)
2. 모든 스칼라 와 모든 벡터 에 대하여 이다.
3. 모든 스칼라 에 대하여 이다. (양변의 은 모두 의 원소)
proof
1. 모든 벡터 에 대하여 이다.
VS8 [모든 와 모든 에 대하여 이다.] 에 의해
또, 에 대해 0 + 0 = 0 이므로
⇒
VS4 [각 마다 인 가 존재한다.] 에 의해 인 가 존재하며
⇒
⇒
증명의 흐름을 위해 3. 모든 스칼라 에 대하여 이다. 부터 증명한다.
VS7 [모든 와 모든 에 대하여 ] 에 의해
이며 이는 즉 이므로 역시 VS4에 의해 인 존재하고
⇒
⇒
2. 모든 스칼라 와 모든 벡터 에 대하여 이다.
여기서는 증명의 의미를 환기할 필요가 있다. -
는 내에서의 의 덧셈에 관한 역원 이며
는 내에서의 의 덧셈에 관한 역원 이고,
는 내에서의 의 덧셈에 관한 역원 임을 의미한다.
그러므로 이하는, Thm 1.2.2 에서의 세 표기 모두 동일한 것임을 보이는 과정이다.
우선, 좌변 부터 증명하자. 역시 VS8 에 의해
이고, 바로 위의 Thm 1.2.1 에 의해
이며, Thm 1.1의 따름정리 2에 의해
임을 알 수 있다.
다음, 우변 임을 보인다. VS7 에 의해
이며 바로 위에서 보인 Thm 1.2.3 에 의해
이며, Thm 1.1의 따름정리 2에 의해
임을 알 수 있다.
따라서, 이며, 우리는 세 표현을 모두 동일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.
“집합 S가 벡터공간임을 보여라”
→ 집합 내의 원소들에 대해 합과 스칼라 곱이 잘 닫혀있고, 성질 1~8을 모두 만족하는지 전부 확인하라는 뜻.
“집합 S가 벡터공간이 아님을 보여라”
→ 위의 조건들 중 성립 안하는거 하나만 찾으면 된다.
Subspace 부분공간
Definition
-벡터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해, 가 에서 정의한 1. 합 과 2. 스칼라 곱을 가진 -벡터공간일 때, 는 의 부분공간 (subspace)라고 한다.
그리고 이 경우에, 라고 표기 가능하다.
모든 벡터공간 에 대하여 자체와, zero vector 만 존재하는 집합 는 부분공간이다.
근데 공집합 은 벡터공간이 아닙니다! ⇒ (VS3) 덧셈에 대한 항등원이 없어요
인 -벡터공간 의 부분집합 가 부분공간이 되려면
가 위에서 서술한 VS1 ~ VS8을 만족하는지 전부 확인해야 하는가?
⇒ 다행히? 2가지만 확인하면 된다.
1. 모든 에 대하여 이다. ⇒ 는 덧셈에 대하여 닫혀있다.
2. 모든 와 모든 에 대하여 이다. ⇒ 는 스칼라 곱에 대하여 닫혀있다.
사실 다른 조건도 있기는 한데, 1, 2를 만족하면 따라서 성립하는 조건이기 때문에, 그냥 덧셈과 스칼라곱에 대해 닫혀있는지만 확인하면 된다.
(3) 는 zero 벡터를 포함한다.
(4) 에 속한 모든 벡터의 additive inverse는 의 원소이다.
Theorem
정리 1.3
벡터공간 와 부분집합 를 생각하자. 가 의 부분공간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,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. 이때, 연산은 에서 정의된 것과 같다.
모든 에 대하여 이다.
모든 와 모든 에 대하여 이다.
proof
라는 말의 의미는, 에서 덧셈에 대한 항등원 역할을 하는 zero vector가 의 zero vector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는 뜻이다.
의 zero vector가 이고, 의 zero vector가 이라고 하자. 그러면
에 대해 가 성립한다. 한편, 이므로, 또한 성립한다.
이므로 Thm 1.1에 의해 이다.
필요충분조건()임을 보이는 방법은 양 방향으로 충분조건임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면 된다.
()
일때, 는 VS1 ~ VS8 모두를 만족하므로 이며(VS 3), 덧셈과 스칼라 곱에 대해서 닫혀있다.
()
인 가 이며, 덧셈과 스칼라 곱에 대해서 닫혀있는 경우
의 덧셈과 스칼라곱이 와 같기 때문에 벡터공간의 성질을 만족하므로, 닫혀있기만 하면 VS1 ~ VS8을 모두 만족한다.
[ 에 대해 당연히 이지만( 이므로), 닫혀있지 않다면 일수도 있는데, 닫혀있다면 이런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]
정리 1.4
벡터공간 의 부분공간들의 임의의 교집합은 의 부분공간이다. ⇒
(⇒ 같은 표현입니당ㅎ)
proof
1. 이므로 확인
2. 이면 이고 는 벡터공간이므로 이다. 따라서 확인
3. 이면 이고 는 벡터공간이므로 이다. 따라서 확인.
엇! 그러면 부분공간들의 합집합도 부분공간이 되나요?
안됩니다ㅜ
(x축), (y축) 인 부분공간 를 생각해 봅시다.
(+ 모양의 x축과 y축의 합집합)은 덧셈에 닫혀있지 않습니다.
에 대해
물론, 되는 경우가 있기는 한데, 한 부분공간이 다른 부분공간에 포함되는 경우입니다.
그러면.. 서로 다른 부분공간 가 주어질 때, 두 부분공간을 결합하여 둘 모두를 포함하는 더 큰 부분공간을 만드는 방법은 없는걸까요!
⇒ 그게바로, ‘합공간’ 개념입니다.
Direct Sum 직합
Definition
공집합이 아닌 과 는 벡터공간 의 부분집합이다.
[합공간의 정의]
두 집합의 합(sum) 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{집합끼리의 합은 원래는 정의되어있지 않지만, 한번 만들어 봅시다.}
[부분공간의 합공간은 벡터공간이 될까?]
위와 같이, 부분공간이 벡터공간이 되기위한 조건 3가지를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.
[직합의 정의]
벡터공간 와 그 부분공간 에 대하여 이고, 인 경우
는 와 의 직합(direct sum) 이라 하고 라 표기한다.
Theorem
벡터공간 의 부분공간 로 이루어진 합공간 일때
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.
1)
2) 모든 에 대해, 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유일하다.
proof
1)
이라고 하자, 이므로
이다. 이고 이므로 이다.
그런데 이므로
이다. 따라서 으로 는 유일하게 표현된다.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2)
인 에 대해 로 표현 가능하다.
그런데 가 유일하다면 이어야 하므로 이다.
따라서 이다.
벡터공간 의 부분공간 에 대하여
이고,
을 만족하는 의 부분공간 와 를 생각하자.
이고.
를 만족한다.
즉, 의 상한은 부분공간들의 교집합이고, 의 하한은 부분공간들의 합공간이 된다.
Linear Combination 일차 결합
Definition
Linear Combination 일차 결합
는 벡터공간이고, 는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라 하자.
유한개의 벡터 와 스칼라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벡터 를
‘의 Linear Combination 일차 결합’ 이라고 한다.
span & generate
span : 집합에 대한 1항 연산, 집합을 집합으로 대응시키는 연산
벡터공간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를 생각하자. 의 생성공간(span)은 의 벡터를 사용하여 만든 모든 일차결합의 집합이며, , 간단히 라고도 표현한다.
⇒ span은 집합에 대한 1항 연산, 유한 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을 ⇒ 하나의 벡터공간(벡터공간 역시 집합이니까)으로 만드는 연산
편의를 위해 으로 정의한다.
, [‘The’ set of Linear Combination]
The Span of
(당연히) 는 M.A와 S.M에 대해 닫혀있고
를 포함하는 가장 최소한의 벡터공간이 된다.
ex) 에서 집합 {(1,0,0), (0,1,0)}의 생성공간은 형태의 벡터로 이루어진 집합이다. (는 스칼라) 이 생성공간은 평면이고, 의 부분공간이다.
Theorem
정리 1.5
벡터공간 의 임의의 부분집합 의 생성공간은 를 포함하는 (의) 부분공간이다.
또한 를 포함하는 의 부분공간은 반드시 의 생성공간을 포함한다.
뭔가 너무 당연해보이지만.. 그걸 명백히 밝히는게 증명이니깐! 해봅시닷
proof
⇒ 너무 자명하지만, 일 때 이므로 는 를 포함한다.
집합론적으로, 가 성립하면 라고 한다. (둘은 필요충분조건이다.)
가 의 부분공간이라는 말에는 2가지 요점이 있다.
1) 가 에 여전히 포함되어 있다는 점, 2) 가 스스로 벡터공간이라는 점. 이 두 조건을 살펴보자.
i). 인 경우, 이다. 은 을 포함하고, (), 2) 의 모든 부분공간에 포함되며, 스스로 벡터공간이 된다.
ii). 인 경우
인가?
⇒ 인 에 대하여, 이다.
는 벡터공간이므로, 임의의 에 대한 선형결합 (선형 결합은 결국, 덧셈과 상수배의 결과이므로)에 대해 닫혀있다.
즉, ⇒ 따라서 이다.
벡터공간 의 부분집합 가 의 부분공간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3가지 조건!
1. 영벡터를 포함
2. 덧셈에 대해 닫혀있음
3. 상수배에 대해 닫혀있음
확인해보자.
1. 영벡터를 포함
에 대해 이다. (O)
2. 덧셈에 대해 닫혀있음
에 대하여, 다음 등식을 만족하는 벡터 와
스칼라 이 존재한다.
이때
와
은 명백히 의 일차결합이다. 즉, 이다. 따라서 는 의 부분공간이다.
같은 논리로, 대신 더 작은 가 를 포함한다고 하면,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는것이다.
이면 와 스칼라 에 대하여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.
이므로 이다.
이다. 는 에서 임의로 꺼낸 벡터이므로 이다.
벡터공간 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이면
는 를 생성(generate 또는 span)한다.
이 경우, 의 벡터가 를 생성한다고 말하기도 한다.
generates (생성한다)
{ is ‘a’ generating set of (생성집합)
⇒ generator
’a’ 인 이유
서로 다른 부분집합도 같은 부분공간 를 생성할 수 있다. 그렇다면 를 생성하는, 가능하면 가장 작은 (의) 부분집합은 무엇일까? 다음 절에서 생성집합에서 불필요한 벡터를 제외하여 더 작은 생성집합을 얻는 방법을 공부할 것이다.
⇒ 뭐가 되든지 상관은 없다. 그러면 정말 아무거나 가져와도 되는걸까? 조건은?
span (S) 는 S를 포함하는 부분공간 중 가장 최소한이 됩니다. 증명하실 수 있으신가요?